Dreaming-Korean
수익형 블로그 운영 및 IT, 프로그램, 인터넷 활용 꿀팁 등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블로그입니다.

[초기 셋팅] 구글 블로그스팟 검색엔진 등록 및 애드센스 광고 연결

구글 블로거(Blogger) 블로그스팟(Blogspot) 사이트를 개설한 뒤에는 각종 검색엔진에 블로그를 등록해 색인 요청을 해야합니다. 검색엔진에 블로그를 인증한 뒤, 사이트맵을 등록하여 색인을 진행하고 구글 애드센스 수익화 승인 신청까지 진행해 보겠습니다.

[초기 셋팅] 구글 블로그스팟 검색엔진 등록 및 애드센스 광고 연결

구글 블로거(Blogger) 블로그스팟(Blogspot) 블로그 사이트를 처음 개설하고 게시물을 서너개 작성한 뒤에는 각종 검색엔진에 블로그를 등록해 색인 요청을 해야합니다.

포털 사이트에 색인 신청을 하지 않으면 아무리 양질의 글이 많고 잘 구성된 웹사이트라 할지라도 사람들의 검색에 노출되지 않는 인터넷 속에 떠다니는 유령 자료가 됩니다.

검색엔진에 블로그를 입력하여 인증한 뒤, 사이트맵을 등록하여 색인을 진행하고 구글 애드센스 수익화 광고 송출 승인 신청까지 진행해 보겠습니다.

구글 블로거, 블로그스팟 로고 이미지.

검색엔진에 블로그를 등록하고 사이트맵 색인 신청까지 해보기

구글 서치콘솔에 내 블로그스팟 블로그 등록하기

구글 블로그스팟 블로그는 구글 서치콘솔에 사이트를 등록하고 연결하는 것이 매우 쉬운 편입니다.

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 - 구글 서치콘솔 바로가기

구글 서치콘솔에 가입 후 로그인하면 좌측 상단 로고 바로 밑에 '속성 검색' 입력창이 있습니다. 누른 뒤 밑으로 펼쳐지는 드롭다운 메뉴에서 '+ 속성 추가' 버튼을 누릅니다.
도메인을 구입해 씌웠다면 좌측 도메인 입력창에, 블로그스팟 원본 주소를 그대로 사용한다면 우측 URL 접두어 입력창에 블로그 주소를 입력한 뒤, '계속' 버튼을 눌러 진행합니다.
같은 구글 플랫폼이기 때문에 번거롭게 메타태그를 추가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소유권이 인증됩니다.
등록된 속성을 선택하고 좌측 탭 하단 'Sitemaps' 버튼을 눌러 사이트맵 색인 신청을 바로 진행해 줍니다.
다음 주소를 입력합니다.
sitemap.xml
RSS 피드 주소도 동일하게 등록해 줍니다.
feeds/posts/default?alt=rss
사이트맵의 등록 직후 상태는 '가져올 수 없음'으로 떠있지만, 실제 크롤러 봇이 사이트맵을 수집하는 데에는 일정 시간이 소요됩니다. 구글 서치콘솔 사이트맵 색인 요청 작업이 모두 완료되었습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마스터 도구에 내 블로그 사이트 색인 요청하기

내 블로그가 네이버에서 검색되도록 하려면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내 웹사이트를 등록해야 합니다.
https://searchadvisor.naver.com/console/board -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웹마스터 도구 바로가기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로그인하여 사이트 등록 입력창에 URL을 입력합니다.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 소유권 확인을 진행합니다. 네이버에서는 첫 번째 방법인 HTML 파일 업로드를 추천하지만 매우 귀찮은 작업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쉬운 두 번째 방법, HTML 태그 붙여넣기로 사이트 소유권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아래에 쓰여있는 메타태그를 드래그하고 'Ctrl+C'를 눌러 복사합니다.
구글 블로거(Blogger) 블로그스팟 관리자 사이트에 접속해 좌측 탭 하단의 '테마' 버튼을 클릭합니다.
내 테마 '맞춤설정' 버튼 옆의 '▼' 버튼을 누릅니다.
'HTML 편집' 버튼을 누른 뒤 'Ctrl+F'를 눌러 탐색창에서 <head> 태그를 검색한 뒤, 섹션 내부에서 'Ctrl+V'를 눌러 복사한 네이버 검색엔진 소유권 인증 메타 태그를 붙여넣습니다. 코드를 붙여넣어 테마를 편집한 뒤에는 꼭 우측 상단에 위치한 디스켓 모양의 저장 버튼을 눌러주어야 합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로 돌아가 '소유확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보안문자를 입력합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서 사이트 소유권 확인이 완료되었습니다.
등록된 사이트 링크를 눌러 관리창에 진입한 뒤 좌측 하단의 RSS 제출, 사이트맵 제출을 바로 진행해 줍니다.
RSS 제출 탭에서는 다음 주소를 입력합니다.
https://내블로그주소.blogspot.com/feeds/posts/default?alt=rss
사이트맵 제출 탭에서는 다음 주소를 입력합니다.
https://내블로그주소.blogspot.com/sitemap.xml
이어서 '검증' 탭의 하위 메뉴인 'robots.txt' 항목을 눌러줍니다.
robot.txt가 수집되지 않았다는 알림창이 뜹니다.
내 사이트 로봇 정보가 제출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측 하단의 '수집요청' 버튼을 눌러줍니다.

자동으로 로봇 정보가 수집됩니다.
좌측 탭 최하단의 '설정' 버튼을 누른 뒤 하단 '수집 주기' 설정에서 '빠르게'를 누르면 네이버 크롤링 봇이 내 사이트를 더 자주 방문해 빨리 게시물 업데이트 정보를 수집해 갑니다.

다음 웹마스터 도구에 내 사이트 검색 요청 & 색인 등록하기

다음 웹마스터 도구에 사이트를 등록하는 것은 조금 더 복잡합니다.

다음 크롤링 봇의 출입을 허용하는 로봇 룰을 지정해 주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https://webmaster.daum.net/ - 다음 웹마스터 도구 사이트 바로가기

'PIN코드 발급받기' 버튼을 누릅니다.
소유권을 인증받고 싶은 블로그 URL 주소를 입력한 뒤 PIN코드(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하단의 이용동의 확인 체크박스에도 잊지않고 체크를 꼭 눌러줍니다.

안내사항이 출력됩니다. '확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핀 코드가 발급되었습니다. 이제 다음 로봇룰을 수정해 주어야 합니다. 발급받은 코드 텍스트를 메모장 등에 복사 & 붙여넣기 한 뒤 잘 가지고 있습니다.

블로거 관리자 화면에서 좌측 하단 '설정' 탭을 클릭한 뒤 드래그 다운 하여 크롤러 및 색인 생성 항목에서 '맞춤 robots.txt 사용 설정'에 체크하면 바로 밑에 '맞춤 robots.txt' 버튼이 활성화 됩니다. 클릭해 줍니다.
이곳에 맞춤 로봇 룰을 입력해 줍니다.
아까 발급받은 다음 웹마스터 도구 핀코드를 붙여넣습니다.

그냥 이 코드만 붙여 넣게 되면 기존에 존재하던 로봇 룰이 모두 삭제되고 다음 크롤러만 허용하게 됩니다.

다음 코드를 먼저 붙여넣은 뒤, 엔터를 쳐서 줄을 띄운 뒤 다음 로봇 룰 코드를 입력합니다.
  • User-agent: Mediapartners-Google
    Disallow: 

    User-agent: *
    Disallow: /search
    Disallow: /share-widget
    Allow: /

    Sitemap: https://내블로그사이트주소/sitemap.xml

    #DaumWebMasterTool:발급받은 코드
입력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붙여넣고 저장 버튼을 누른 뒤에는 설정 화면에서 이렇게 표시됩니다.
다시 다음 웹마스터 도구로 돌아갑니다.
'로봇룰 테스트' 버튼을 눌러 소유권 인증이 잘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하단의 '인증 시작하기' 버튼을 누르고, 로그인 화면에서 내 블로그 URL과 아까 만든 핀코드(비밀번호)를 입력해 다음 웹마스터 도구 관리자 화면으로 로그인 합니다.

상단 탭 좌측 '수집요청' 버튼을 누릅니다.

하단으로 스크롤을 내려 RSS 피드와 사이트맵 주소를 입력한 뒤, '수집요청' 버튼을 눌러 색인 등록을 완료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빙 웹마스터 도구에서 Bing 검색엔진 색인 등록하기

'엥? 요새 빙 검색을 누가 써?'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Bing 브라우저도 생각보다 검색 유입이 꽤 나옵니다.

게다가 구글 서치콘솔에 정상적으로 사이트를 등록했다면 빙 검색 색인 정보는 자동으로 구글과 연동되기 때문에 간단하게 클릭 몇 번 만으로 쉽게 등록할 수 있습니다.

https://www.bing.com/webmasters - 빙 웹마스터 도구 사이트 바로가기

빙 웹마스터 도구에 로그인 한 뒤 좌측 상단 사이트 목록을 클릭하고, 드롭다운 메뉴에서 '사이트 추가'를 누릅니다.
오른쪽 입력창에서 사이트 URL을 하나하나 입력할 수도 있지만, 구글 블로그스팟은 구글 서치콘솔과 자동으로 쉽게 연동되고, 빙 웹마스터 도구 역시 구글 계정 정보만 연동시키면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된 블로그의 사이트맵 제출 정보를 쉽게 연동받을 수 있기 때문에 왼쪽 '가져오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우측 하단의 '계속' 버튼을 누릅니다.
저는 최근에 만들어 구글 서치콘솔에 연동시킨 블로그 4개를 한꺼번에 빙 웹마스터 도구로 연동시키겠습니다. '가져오기'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등록이 완료되며, 사이트맵 색인 등록까지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줌(ZUM) 검색엔진에 내 블로그 사이트 등록하기

줌(ZUM) 검색엔진도 의외로 짠짠하게 이용하는 사람이 많은 포털 사이트입니다.

https://help.zum.com/home - 줌 고객센터

ZUM 고객센터 홈페이지에서 '검색 서비스' 버튼을 누릅니다.
색인 등록이 잘 되었는지 확인 연락을 받을 이메일 주소, 색인 등록을 원하는 사이트의 이름을 제목에 기입하고, 등록하고자 하는 블로그의 URL 주소를 입력합니다. 내용에는 검색 색인 등록 승인을 받고자 하는 사이트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적으면 됩니다. (예 : 개인 블로그입니다.)

수익화의 첫걸음, 구글 애드센스 광고 연결 및 승인 신청

수익형 블로그를 운영할 때 제일 중요한 부분은 단연 광고 송출 관리와 검색 색인 상태, 딱 두 가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에 구글 블로그스팟 사이트를 연결하여 승인 신청을 넣는 것은 매우 간단합니다.

https://adsense.google.com/ - 구글 애드센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구글 애드센스에 로그인하여 좌측 '사이트' 탭을 누른 뒤 '+ 새 사이트' 버튼을 눌러 내 블로그를 추가해 줍니다.

'다음' 버튼을 누르면 사이트 소유권을 알아서 자동으로 확인합니다.
똑같이 '검토 요청' 버튼을 눌러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유럽 경제 지역 등지에서 규정하고 있는 인터넷 이용자 정보 수집 동의 메시지를 선택합니다. 사이트에 사용할 옵션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옵션을 선택한 뒤 '제출' 버튼을 누르면 광고 승인 신청이 제출됩니다.
구글 블로거 블로그스팟 관리자 화면으로 돌아와 좌측 탭의 '수익' 버튼을 누르고 '애드센스 연결' 버튼을 누르면 구글 애드센스와 블로그 사이트의 연결 상태를 검토합니다.
블로그스팟 애드센스 승인 신청이 모두 완료되었습니다.

진짜 마지막, ads.txt 코드 등록하기

애드센스 승인 신청까지 넣었다면 마지막으로 ads.txt 파일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내 애드센스 펍코드를 넣어줄 필요성이 있습니다.

블로그스팟 관리자 화면 좌측 탭 하단 '설정' 버튼을 누르고 아래로 스크롤을 내려보면, '맞춤 ads.txt 사용 설정'을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활성화 하면 바로 아래에 다음과 같은 양식을 기입할 수 있는 입력창이 나옵니다.
google.com, pub-0000000000000000, DIRECT, f08c47fec0942fa0
여기서 pub-0000000000000000 부분만 내 펍코드로 바꾸어 입력해 넣으면 됩니다.

내 펍코드는 블로거 관리자 화면에서 좌측 '수익' 탭을 누르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ads.txt가 코드가 정상적으로 연결되면 얼마 지나지 않아 구글 애드센스에서 '승인됨'으로 표시가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남은 것은 애드센스 광고 심사에서 승인이 떨어지기만을 기다리는 것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