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블로그스팟 보통 모드와 단락 형식 모드의 결정적인 차이점
구글 블로그스팟에서 제목을 작성하고 엔터를 쳐서 그냥 글을 쓰면 보통 모드로 글이 작성됩니다.
![]() |
블로그스팟 글쓰기 에디터 화면의 기본 텍스트 입력 설정은 '보통'입니다. |
무슨 차이일까요?
HTML 모드에서 보면 차이를 확연히 알 수 있습니다.
![]() |
보통 모드에서 글을 쓰면 div 태그로 작성되고 |
![]() |
단락 형식 모드에서 글을 쓰면 p 태그로 작성됩니다. |
![]() |
각각 윗부분은 보통 방식, 아랫 부분은 단락 형식 방식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
![]() |
그러니까 그게 뭔 차이죠? |
![]() |
보통 모드, div 태그로 쓰여진 글은 이렇게 줄바꿈을 해도 위아래로 서로 조밀하게 붙어있습니다. 티스토리에서는 div 태그를 사용하나 p 태그를 사용하나 에디터 화면, 혹은 실제 표시되는 페이지에서 표시되는 글의 줄바꿈 모습이 동일하지만 |
혹자는 p 태그로 줄바꿈을 하면 문서의 연결성이 떨어져 검색엔진 색인에 불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것은 근거없는 얘기입니다.
div 태그로 감싸든, p 태그로 감싸든 검색 색인 결과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매일 엄청나게 많은 방문자가 이용하여 큰 트래픽이 발생하지만 구글 검색 색인에 우선순위가 높게 잡히지 않는 인터넷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의 경우 기본 글쓰기 태그는 div 입니다.
반면 구글 색인 결과에서 항상 높은 검색 순위를 받는 티스토리 블로그의 기본 글쓰기 태그는 p 태그입니다.
그런데 줄바꿈 방법 중 약간의 불이익이 있을 수도 있는, 호불호 갈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어디선가에서 글을 복사하여 긁어와서 붙여넣을 경우 html 모드에서 확인했을 때 <br/> 태그로 줄바꿈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 |
경우에 따라 엔터키를 치면 이렇게 줄바꿈 코드인 <br/> 태그로 다음 줄로 넘어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
![]() |
그런데 그게 어쨌다는 거예요? 무슨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는 거죠? |
![]() |
구글 애드센스 자동광고는 주로 </div>나 </p> 등으로 태그가 종결된 코드 뒷부분에 들어갑니다. 쉽게 말하자면 보통 형식이든 단락 형식이든 엔터키를 쳐서 줄이 바뀐 문장 사이사이마다 애드센스 자동광고가 들어갈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br/> 태그로 줄바꿈이 이루어진 문장들 사이에는 구글 애드센스 자동광고가 들어가지 않습니다. |
![]() |
이것을 반대로 말한다면, 작성자의 의도에 따라 문장을 매끄럽게 잇고 가독성을 확보하기 위해 글 사이에 자동광고가 삽입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br/> 태그를 활용해 줄바꿈을 해주는 선택이 선호될 수도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 |
![]() |
또한 보통 형식에서는 계속 이미지를 추가로 업로드 할 시 이미지들이 서로 엉키고 설켜 제대로 배치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지만, 단락 형식으로 지정된 줄에 업로드 된 이미지들이 p 태그로 감싸지면 이미지의 위치를 자신이 원하는 곳에 배치하기가 수월해집니다. 즉, 쉽게 말해 모바일 친화적인 페이지를 만들기가 쉬워진다는 뜻입니다. |